똥본위화폐
한 사람의 똥이 자연을 오염시키지 않고, 에너지나 비료로 바뀌어 활용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돈으로, 인간의 존재 자체를 존중하는데 의미를 두어 사회 속에서 자연스럽게 동력이 만들어지는 대안화폐시스템입니다.
-
똥본위화폐의 원리
수세식 화장실은 위대한 발명품이지만 오래전 일입니다. 지금은 똥을 물로 내려 버리지 않아 물을 아끼고 환경도 오염시키지 않으며 바이오에너지와 양질의 퇴비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회시스템이 그것을 선택하지 않을 뿐입니다. 똥이라는 뱃즈(Bads)를 굿즈(Goods)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
비비화장실
똥을 바이오 에너지로 바꾸려면 수세식이 아닌 특수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합니다. 변기는 똥과 오줌을 효과적으로 분리해야 하고 똥은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소화조로 가야 합니다. 바이오에너지를 만들고도 남는 찌꺼기는 퇴비를 만들며 오줌도 땅과 식물에 해가 될 수 있는 것을 제거한 후에 액비가 됩니다. 이 화장실을 비비(BeeVi)화장실이라고 하였습니다. 꿀벌(Bee)이 세상을 위해 여러 역할을 하듯 똥을 가치로운 존재로 바꾸는 비전(Vision)을 가지는 화장실입니다.
-
똥본위화폐의 기본단위 꿀
하루 한 사람이 누는 똥의 가치를 10꿀로 정하였습니다. 10꿀의 가치를 기준으로 다른 가치들의 가격을 정합니다. 똥의 가치 10꿀을 상상하고 이를 기준으로 백반 한 끼, 햄버거, 대중교통 이용, 소설책 한 권, 머그컵 커피 한 잔과 일회용 컵에 담긴 커피 한 잔 , 대중교통버스, 상추 한 묶음, 당근 하나 등의 가격을 정합니다. 똥본위화폐 플랫폼 시장에서 형성되는 거래가격입니다. 원, 달러 등과는 다른 질서를 가진 가격이며 이를 결정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
똥본위화폐 작동원리
똥본위화폐의 3가지 작동원리가 있습니다. 나눔과 연결, 사라지는 돈, 기본소득 개념입니다. 10받으면 7꿀은 갖고 3꿀은 동료와 나눕니다. 동료는 가족일 수도 있고, 같은 마을 사람일 수도, 잘 모르는 다른 마을 사람, 아프리카의 어린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3꿀을 나눈 동료들은 또 그들의 동료들과 3꿀을 나눌 것입니다. 이렇게 10꿀 중 3꿀은 세상을 인간이라는 이름으로 연결할 것입니다. 또한 똥본위화폐는 돈이 매일 -7%이율로 사라지는 것은 영원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속에서 순환하는 것과 같습니다. 갓 수확한 사과가 신선하고 오래두면 썩어서 먹지 못하게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돈은 경제생태계 속에서 순환하고 유통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비비화장실에 가지 않아도 매일 fSM시스템에 들어와 있는 모든 사람에게 10꿀이 지불됩니다. 이를 기본소득 fSM이라고 합니다.